라벨이 yorizoa인 게시물 표시

DADAMA Special Steel. Anti Rust Carbon Steel Frying Pan Wok Series 5 Sizes

이미지
DADAMA Special Steel Anti Rust Carbon Steel Pan Series. Conatct us : yorizoa@gmail.com Tel.82-7087115793 특수 열처리로 철의 장점을 살린 특수강판 웍(볶음팬)입니다. 采用了一种特殊的钢板炒锅(搅拌盘),通过特殊的热处理利用了铁的最佳优点 장점 Made of eco-friendly special steel materials. Special heat treatment is applied, does not rust and scratch easily. Longer life than conventional aluminum wok and pan. Maintain the same quality as the iron pot used by the ancestors. Conventional frying pan has short life span with deterioration of the coated surface. Dadama’s special steel can be used for decades if used properly. You can naturally ingest the necessary iron every time you use. Special heat treatment prevents surface oxidation (rust) and safe for human body with natural materials. 1. 재질이 특수강철로 되어있어 친환경 적입니다. 2. 표면이 특수 열처리로 되어있어 녹이 슬지않고 잘 긁히지 않습니다. 3. 기존의 알미늄 웍 및 팬보다 수명이 길어 오래 쓸 수 있습니다. 4. 선조들이 사용하던 무쇠 솥과 동등한 품질을 유지합니다. 5. 일반 프라이팬은 단시간내 코팅면이 열화되어 수명을 다하지만,     다다마 특강은 잘 길들이면 수...

연매출 1조를 향해 달려가는 슬로우쥬서기. 원액기 제조기업 휴롬(HUROM)

이미지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법한 휴롬원액기. (HUROM) 휴롬은 2015년 매출 2500억을 뛰어넘으며 매출 1조를 목표로 부단하게 질주하고 있습니다. 이 신화창조 비결은 무엇이었을까요? 단일 가전품목 하나로 이렇게 엄청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이 매우 놀랍습니다. 휴롬은 국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대성공을 이루어냈으며 이어 중국에서도 한류의 열풍과 함께 광군제에서 단 하루만에 225억원어치가 팔려나갈만큼 휴롬 열풍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기존의 과일이나 야채를 갈아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압착을 통한 과즙을 만들어내는 최초의 원액기" 휴롬 원액기의 차별성은 확연했습니다. 기존의 필립스나 테팔등의 믹서기등이 사용하던 간다는 개념을 천천히 눌러서 압착해서 보다 좋은 맛을 내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한 것이었던 것이죠. 스크류를 통한 이 압축은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과일이나 채소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보전할 수 있으며 2. 과일의 순수한 색채를 그대로 빛낼 수 있으며 3. 맛이 더 탁월합니다. 휴롬 원액기를 써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아침에 휴롬제품을 통해 마시는 쥬스한잔이 하루 일과의 큰 힘과 원동력이 되기도 합니다. "창업가의 수백번의 실패와 실패를 거듭해서 만들어낸 원액기의 신화" 휴롬의 성공뒤에는 말그대로 창업자 현 김영기 휴롬회장의 수백번 수천번의 실패와 노력이 결실입니다. 휴롬이라는 브랜드와 제품을 만든것이 김회장의 첫번째 도전이 아니었던 것이죠. 대부분의 성공한 창업자들과 비슷하게 김영기 회장도 수번의 사업실패와 시행착오를 딛고 일어서면서 휴롬 원액기를 빛을 보게 된 것이죠. 해외기업 혹은  대기업이나 대기업 계열사들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주방가전 시장에서 이런 기업은 말그대로 "개천에서 용난 기업"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앞...

인도의 국민프라이팬! 타와팬(Tawa)

이미지

왜 스타우브(Staub)를 명품 주방브랜드라고 말하는가?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전세계 주부들을 열광시키는 명품 주방브랜드. 스타우브 (Staub). 오늘은 스타우브에 대하여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스타우브는 1974년 창업된 전통의 프랑스기업으로 프랑스 최초로 무쇠(cast iron)로 만든 Cocotte(프랑스어로 코코뜨 꼬꼬뜨) 즉 도자기 내열냄비를 만든 기업입니다. 창업주의 이름 프랜시스 스타우브(francis staub) 이름을 가지고 스타우브Staub라는 브랜딩을 하게 됩니다. 보통 유럽국가들의 유명 브랜드중에는 창업주의 이름을 딴 회사들이 참 많죠. 주방용품으로는 대표적으로 휘슬러(fissler) 역시 창업주 휘슬러의 이름을 브랜딩한 회사명입니다. 스타우브는 프랑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무쇠주물냄비,후라이팬,그릴팬등을 제조하는 업체입니다. 국내에서도 많은 매니아들이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기업이죠. 그럼 왜 스타우브 냄비들을 명품이라고 인정받고 사랑받는 것일까요? 오늘은 그 제작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1. 몰딩 주형 자체제작. 스타우브는 100프로 자체생산공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시작은 쇳물을 부을 주형을 수동으로 제작하는것으로 시작합니다. 스타우브 특유의 모양과 디자인을 만들기 위한 스타우브만의 주형틀을 먼저 제작하는 것이지요.   2. 금속제 용해작업 무쇠제품을 만들기위해 쇳덩어리들을 용해시킵니다. 이 작업은 고도의 기술력과 안전이 보장된 시설에서만 가능한 작업으로 스타우브는 말그대로 자체 작은 용광로를 가동시키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주형틀에 쇳물을 들이붓는 Casting작업. 자체 생산한 주형틀에 자신들이 녹여낸 쇳물을 붓습니다. 이 주형틀은 르쿠루제가 고안한 다양한 디자인과 로고등이 새겨져있는 틀이죠. 이 틀안에 쇳물을 넣으면서 자신들이 원하는 무쇠냄비의 디자인을 만들어냅니다. 4. 불순물 제거작업. 자 이제 뜨거운 주형틀에서 쇳물이 고체화되어 사진처...

요리조아) 코팅 후라이팬 길들이기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오늘은 코팅 후라이팬이 길들이기와 세척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후라이팬은 제조공정에서 깨끗한 세척까지 하며 제품을 출고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대부분 큐링(제품코팅을 굳히는 열가열작업)이후 바로 제품 손잡이 조립을 합니다. 이후 제품의 결함상태를 육안확인하고 제품을 포장을 합니다. 아마 제품 포장전에 후라이팬을 깨끗이 세척까지 하는 업체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 코팅후라이팬을 세척하는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코팅 후라이팬 길들이는 순서. 1. 일단 부드러운 수세미로 주방세제와 함께 부드럽게 세척해주세요.    -> 제조공정에서 묻어나온 이물질들을 제거합니다. 2. 세척이후 키친타월로 물기를 닦아주시고 베이킹 소다를 한두스푼정도 넣고 5~10분정도 가열해주세요.  -> 베이킹 소다는 후라이팬이나 냄비 세척에 가장 효율적인 소재입니다 3. 베이킹소다가 없다면 물을 반쯤 넣고 집에 있는 식초 한스푼정도 섞어주시고 가열해주세요.   펄펄 끓는점에 다다르면 식초와 물을 제거하시고 키친타월로 닦아주세요.  이때 가열된 후라이팬을 닦는데 화상에 주의하세요. 약간 식힌 이후 닦아주셔도 됩니다 4. 마지막으로 식용유를 골고루 바르시고 한번 더 가열해주세요. #행간에는 굵은 소금을 넣고 후라이팬을 길들이시는 분들이 있는데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소금은 알루미늄 백화현상의  주요 성분이기도 하며 코팅제 후라이팬이나 냄비의 수명을 줄입니다. 안그래도 염분기 많은 국물요리나 소금을 많이 쓰는 우리나라 요리음식들 특성상 가급적 길들이기서부터 쓸 필요는 없습니다 ^^ 이상 알루미늄 코팅류 후라이팬에 대한 길들이기 방법이었습니다. 스테인레스나 무쇠류 후라이팬의 경우 시즈닝을 해야하는데 코팅후라이팬의 경우는 매우 간편하다고 볼 수 있죠.

냉동낚지볶음밥 조리하기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시중 마트에서 파는 냉동낚지볶음밥을 구매해서 조리해 봤습니다. 후라이팬은 세라믹코팅제를 쓴 세라믹 캐스팅 후라이팬입니다. 역시 빠른 조리를 하기에는 알루미늄 코팅팬이 가장 이상적인듯 합니다.

친환경적인 신소재 마그네슘 냄비 후라이팬.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오늘은 새로운 소재로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 마그네슘 팬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앞선 글들에서 언급했듯이 알루미늄 관련 제품들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취약점은 바로 '코팅이 벗겨질 때'입니다. 특히나 세라믹 코팅들은 충격이나 긁힘에 매우 취약하죠.이런 고민을 해결해주기 위한 제품이 등장했으니 바로 '마그네슘 후라이팬'입니다. 아마 이런 시도는 많았지만 실제로 판재를 만들고 상용화한 건 한국이 처음인데요, 이 마그네슘 후라이팬은 99프로가 넘는 마그네슘의 판재(circle)로 후라이팬을 만듭니다. 아이디어 주방용품으로 유명한 H사에서 마그네슘으로 만든 제품들을 선보이기도 했죠. 향후 지속적으로 마그네슘 제품들이 생산될 것이라 예상되고 있습니다. 마그네슘 후라이팬의 장점. 1) 같은 두께여도 알루미늄에 비해 마그네슘이 매우 가볍습니다.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는 무게이기 때문에 주부들에게 좋습니다. 2) 코팅이 벗겨지거나 긁혀도 마그네슘 원소 자체가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걱정이 중금속 걱정이 없습니다.    코팅이 벗겨져도 마그네슘은 인체의 필수성분으로써 섭취를 해도 유익하죠 ^^ 3) 매우 친환경적인 신소재입니다. 마그네슘 후라이팬의 단점. 1) 아직까지 널리 상용화가 널리 이루어지지 않아서 제품 가격이 높은 편입니다. 2) 발화점에 대한 논란이 분분합니다. (알루미늄 제품류는 500도정도로 보고 있죠) 건강한 주방용품을 선호하시는 분이라면 한번쯤 써보시는것은 어떨까요? 행복한 요리, 건강한 주방용품 요리조아가 함께합니다.

요리조아) 냄비 후라이팬의 밑면 옆면 두께차이에 관하여.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자주쓰는 냄비 후라이팬들의 밑면 옆면의 두께차이를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팬의 밑바닥과 옆면의 두께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밑바닥 두께와 옆면 두께가 다른 팬이 존재합니다. 코팅이든 스텐이든 마찬가지입니다. 물론 광고에서는 이런 얘기는 잘 언급되지도 않고 중량 자체가 표기 안된 경우가 많습니다.  링크한 윗 사진은 국내 중급품질의 후라이팬 내부 단면도입니다. 중국산 최저가 팬은 얇은 두께의 판재를 구부려 팬을 만들기도 합니다. 팬의 워낙 얇다보니 가스불에 금방 열이 오르는것을 넘어서서 음식물들이 쉽게 태워집니다. 열이 그만큼 너무나 빨리 오르는 것은 더 치명적인 이유가 있는데요. 얇은 팬에서 달궈지는 테프론 코팅은 워낙 온도가 급격히 오르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과 전에 언급한 PFOA등 과불화 화합물이 기화되어 유독가스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팬이 워낙 얇다보니 이런 제품들은 테프론 제조사 듀폰에서 경고하는 섭씨 300도 이상을 쉽게 넘겨버릴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코팅 자체의 녹는점이기도 하며 유독가스(Teflon Flu)가 배출되는 온도로 쉽게 올라선다는 의미입니다. 바닥과 옆면 두께차이는 음식물 또한 쉽게 태우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바닥과 옆면의 두께차이로 인한 팬의 열전달차이는 음식물을 태우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특히 스텐레스 바닥 3중팬의 경우 예열 +  옆면 두께차이로 음식물이 잘 탑니다. 냄비와 팬을 한번 들어보시고 바닥과 옆면을 어느정도 만져보시고 두께를 가늠해보시고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옆면 두께와 밑면두께가 동일 통제품들이 보다 안정적인 요리를 가능하게 때문입니다.

요리조아)인덕션 레인지(IH)위에 종이를 올려놓으면 어떻게 될까요?

인덕션 레인지(IH)위에 종이를 올려놓으면 어떻게 될까요? 인덕션 레인지의 IH기능과 자기장에 관한 영상설명입니다.

요리조아) 여전히 논란중인 후라이팬 코팅 과불화화합물 PFOA, PFHxA의 위험성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이슈화되었던 후라이팬 코팅제에서 나오는 PFOA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논란이 2017년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과불화화합물이란 현재 미국에서는 이 PFOA를 주방제 코팅용품에 쓰는 것은 규제하기 시작했으며 다른 선진국도 마찬가지입니다. 허나 국내에서는 아직 명확한 기준이 나와있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나온 결과는 가히 충격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생활용품 300점을 무작위로 구입해서 과물화화합물이 얼마나 나오는지는 무작위로 검사하였는데요 그중에 주방용품 후라이팬에서 가장 많은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었습니다.(PFOA, PFHxA) 여기서 PFOA와 PFHxA는 모두 과불화화합물입니다. C8(탄소8)의 안정적인 결합체인 PFOA는 이미 동물생체실험을 발암물질로 의심받고 있는 물질이기때문에 선진국에서는 모두 사용을 금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대체제로 C6(탄소6결합)인 PFHxA를 사용하고 있는것이죠. 우리가 시중 후라이팬에서 볼 수 있는 PFOA Free는 바로 이 PFHxA를 PFOA 대체제로 사용한 제품들입니다. <2016년 YTN 방송분> 그러나 C8로 대변되는 PFOA나 C6로 대체된 PFHxA모두 인체의 유해성 논란에서 아직도 자유롭지 못한것이 사실입니다. 새롭게 대체제로 쓰이고 있는 PFHxA와 PFFE(불소수지테프론)으로 만들어내는 코팅제과 과연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것일까요?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2016년 SBS모닝와이드 방송분> 코팅제 후라이팬을 사용할때 간과하지 말아야할 중요한 부분. "바로 가스"입니다. 사실 우리가 코팅이 벗겨지는 것에 대한 주의를 많이 하고 있지만 조리를 할때 일정 온도 이상에서 나오게 되는 가스에 대한 관심이 덜한것이 사실입니다. 지금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이야기도 사실 기화되어 밖으로 나오는 가스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 보...

영상)내 아이를 위한 간장떡볶이 만들기

이미지
오늘 소중한 내 아이를 위한 맵지 않은 간장떡볶이를 만들어주는 것은 어떨가요? ^^

스테인레스 주방용품 일반상식.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이번 스토리는 스테인레스 후라이팬입니다. 일명 스댕!이라고들 하죠 ^^ 스댕관련 몇가지 팁을 드려볼까 합니다. 1. 알루미늄 코팅팬대신 대신 왜 스댕을 쓰는가?  한마디로 웰빙 “친환경”에 가장 적합하다는거죠. 코팅팬이 가지는 유해성논란에서 자유로우며 인체에 무해한 스텐레스로 이루어진 냄비기에 타 주방기기보다 친환경적입니다. 코팅이 벗겨질 걱정도 없고 강도도 높습니다. 반영구적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구요.(심지어 며느리 물려준다고도 하죠^^)  특히 "보온성"이 탁월합니다. 시중에 나오는 보온병 대부분이 스댕제품들이죠.  현재 제조되는 주방기구 소재중에는 가장 “안정적이어서 각광받는” 제품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주부들을 어렵게 하는 시즈닝. 일명 길들이기. 코팅팬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처음 스테인레스 후라이팬을 쓰면 늘러붙습니다. 코팅팬과는 달리 스테인레스 팬은 일명 시즈닝이라는 길들이기 작업을 해야하는데요. 이것이 주부들이 스댕팬을 꺼리는 한가지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2. 스댕 주방용품 구입시에는 무조건 “재질”을 확인하세요.  스테인레스 소재는 엄청나게 다양하며 주방기구 회사들이 주로 찾는 스댕소재는 SUS304, SUS430입니다.  이 기준은 바로 크롬과 니켈이 섞여있는 비율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스댕팬의 크롬,니켈 특히 니켈의 비율은 “매우”중요합니다. 니켈이 철의 부식방지를 해주기 때문이죠. 또한 철의 성분비와 유무에 따라 인덕션(IH)이 되기도 하고 될 수 없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스테인레스는 합금이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조합의 스테인레스가 존재합니다.  <SUS304>  대부분의 주방기구 원자재로 쓰이며 보통 냄비박스에 18/8 혹은 18/10으로 적혀있습니다 - Cr (18%) + Ni (8%)첨가  크롬과 니켈의 비중이 높아 내식성, 부식방지에 탁...
이미지
이번 글은 코팅팬 손잡이 이야기입니다. 후라이팬의 손잡이 부분은 쉽게 간과하기 쉽죠 ^^ 허나 그 후라이팬이 어떤 후라이팬인지 알기 위해선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바로 손잡이입니다.제조업체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는 분야이기도 하구요. 종류는 팬 내부로 구멍을 뚫는 후라이팬과 팬 외부로 돌출시키는 캐스팅(일명 통주물) 후라이팬이 있습니다. 문제는 후라이팬을 살 때 "손잡이와 팬 내부의 연결점이 광고지로 가려져 있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제품이 손잡이와 팬내부의 연결 고리를 찾아볼 수 없게 디자인 되어있는 종이가 씌워져 있습니다.이건 후라이팬의 외형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판재형 구멍뚫린 손잡이의 경우 기본적으로 "손잡이가 팬 내부를 뚫어서 볼트로 조인 제품들은 내부 볼트사이에 이물질이 낍니다" 주부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물론 건강상으로도요. 세척을 해도 그 틈새로 이물질이 쌓여가죠. 마치 방 깨끗히 청소기 돌려도 장롱 및 침대및은 먼지가 수북히 쌓이는 것과 같은 이치죠. 그런 팬으로 요리를 하면 열과함께 고스란히 그 이물질이 섞이게 됩니다. 이것이 판재 후라이팬의 약점입니다. 이런 주부들의 불만과 함께 만들어진게 바로 주물 후라이팬(다이캐스팅)입니다. 애초에 금형에다가 손잡이를 밖으로 빼놓았기 때문에 (애초에 주물로 손잡이 부분이 튀어나와있고 밖에서 손잡이로 조립)팬 내부로 연결되는 고리가 없습니다. 적어도 안은 깨끗하다는거죠. 그래서 캐스팅 후라이팬이 각광받으며 인기를 끌게 됩니다.(물론 코팅문제나 복합적인 요소가 있지만 일단 손잡이 부분만 보면 그렇습니다) 한마디로 순수히 손잡이 측면에서 보면 후라이팬 내부에 구멍 뚫어서 나사 조립해서 만든 후라이팬을 보완한 팬이 주물 후라이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휘슬러, WMF등 유명 독일제 후라이팬도 구멍 뚫린 판재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일방적으로 주부들이 이물질이 낀다고 다 품질이 나쁜 것은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