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스테인레스냄비인 게시물 표시

주방용품에 쓰이는 스테인레스강 알아보기.

이미지

요리조아 통3중,통5중,통7중 무엇이 더 좋은 냄비일까?

이미지
캡션 추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통3중이 통5중보다 좋고 통5중이 통7중이 더 좋은 제품일까요? 정답은 아닙니다. 이런 냄비를 클래드 냄비라고 하는데요 일단 클래드메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클래드메탈, 클래드냄비란? 클래드메탈은 두종류 혹은 그잇의 금속들에 높은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압연공정을 이용하여 금속 결합을 시키는 공법으로 단일금속으로는 가질 수 없는 전기적 물리적 특성을 보유한 복합금속입니다. 스테인레스 냄비에서 사용하는 통3중, 통5중, 통7중제품은 이런 클래메탈을 이야기합니다. 통3중,통5중,통7중은 모두 같은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통3중 3Ply, 통5중 5Ply라고 합니다) 바로 스테인레스 + 알루미늄 + 스테인레스의 조합이라는 것이죠. 그럼 왜 이런 통3중,통5중,통7중 제품을 만들고 판매하는 것일까요? 1.중간에 알루미늄을 섞어줌으로써 매우 낮은 스테인레스의 열전도율을 향상시켜줍니다.  (순수 스테인레스 냄비보다 빠르게 열이 가열됩니다) 2.3중,5중 등의 합금을 하기때문에 열보존력도 좋아질 수 있습니다.   물론 그사이에 어떤 스테인레스재질과 알루미늄 재질을 쓰는가에 따라 달라집니다. 3.인덕션을 가능하기위해서 내부는 자성을 띠지 않지만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304와 알루미늄을 넣고 겉표면 재질을 스테인레스 430재질(자성을 띱니다)을 붙임으로써 인덕션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합니다. 4.바닥만 3중으로 만드는 제품들(주로 인덕션에서 사용하기 위해서죠)은 제품 바닥과 옆면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자칫하면 그 온도차로 인해서 음식물이 타버릴수도 있습니다. 5.광고효과가 탁월합니다.  소비자들은 스테인레스 304제품보다 통3중이 통3중보다 통5중이 통5중이 통7중이 더 좋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알아두시면 좋은 점. 1. 기본적으로 휘슬러등 해외명품브랜드 및 스테인레스 냄비의 기본재질은 스테인레스 STS,SUS30...

요리조아)사틴?샤틴? 냄비설명서에 나와있는 새틴(Satin)처리의 뜻은 무엇일까요?

이미지
사틴? 샤틴? 새틴? 새틴처리?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걸까요? 오늘은 냄비나 후라이팬(주로 스테인레스 주방용품)의 설명서에 적혀있는 사틴 혹은 새틴처리(Satin)처리라는 표현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냄비제품들의 설명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새틴처리공법"이나 "사틴(satin)처리"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일단 satin이라는 표현은 영어단어로 "광택이 곱고 보드라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냄비에 새틴처리를 한다는 것은 "냄비를 곱고 부드럽게 한다"라는 뜻이 되는것이죠 ^^ 이런 새틴처리는 주방용품 연마의 한 기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새틴처리를 하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는데 오늘은 그중 한가지를 영상으로 소개해볼까 합니다. 일단 모터가 달린 지그틀에 냄비를 올려놓습니다. 모터를 상당한 수준을 rpm으로 돌립니다. 그리고 금속제 전용 페퍼나 사포를 가지고 손으로 대면서 연마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새틴처리를 하게되면 냄비가 아주 부드럽고 은은한 빛을 띄게 되고 유광이 아닌데도빛이 나는 세련된 느낌을 주게 됩니다. 단 이것이 유광처리는 아니라는점!!! 냄비제품에 새틴처리를 했다는것은 영상과 같이 무광이지만 은은한 빛이 나고 곱게 가공을 했다는 의미입니다. 지금 스테인레스 냄비 제품설명서을 보실때 Satin처리라고 적혀있는걸 확인해보세요 ^^

스테인레스 주방용품 일반상식.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이번 스토리는 스테인레스 후라이팬입니다. 일명 스댕!이라고들 하죠 ^^ 스댕관련 몇가지 팁을 드려볼까 합니다. 1. 알루미늄 코팅팬대신 대신 왜 스댕을 쓰는가?  한마디로 웰빙 “친환경”에 가장 적합하다는거죠. 코팅팬이 가지는 유해성논란에서 자유로우며 인체에 무해한 스텐레스로 이루어진 냄비기에 타 주방기기보다 친환경적입니다. 코팅이 벗겨질 걱정도 없고 강도도 높습니다. 반영구적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구요.(심지어 며느리 물려준다고도 하죠^^)  특히 "보온성"이 탁월합니다. 시중에 나오는 보온병 대부분이 스댕제품들이죠.  현재 제조되는 주방기구 소재중에는 가장 “안정적이어서 각광받는” 제품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주부들을 어렵게 하는 시즈닝. 일명 길들이기. 코팅팬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처음 스테인레스 후라이팬을 쓰면 늘러붙습니다. 코팅팬과는 달리 스테인레스 팬은 일명 시즈닝이라는 길들이기 작업을 해야하는데요. 이것이 주부들이 스댕팬을 꺼리는 한가지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2. 스댕 주방용품 구입시에는 무조건 “재질”을 확인하세요.  스테인레스 소재는 엄청나게 다양하며 주방기구 회사들이 주로 찾는 스댕소재는 SUS304, SUS430입니다.  이 기준은 바로 크롬과 니켈이 섞여있는 비율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스댕팬의 크롬,니켈 특히 니켈의 비율은 “매우”중요합니다. 니켈이 철의 부식방지를 해주기 때문이죠. 또한 철의 성분비와 유무에 따라 인덕션(IH)이 되기도 하고 될 수 없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스테인레스는 합금이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조합의 스테인레스가 존재합니다.  <SUS304>  대부분의 주방기구 원자재로 쓰이며 보통 냄비박스에 18/8 혹은 18/10으로 적혀있습니다 - Cr (18%) + Ni (8%)첨가  크롬과 니켈의 비중이 높아 내식성, 부식방지에 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