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테프론코팅인 게시물 표시

후라이팬에 자주 보이는 코팅명칭.자일란/콴탸늄/이클립스 코팅

이미지

요리조아) 후라이팬 코팅두께와 코팅력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세라믹 후라이팬의 코팅은 "세라믹"입니다. 기존에 불소수지코팅의 PFOA가 발암물질인지에 대한 많은 논란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코팅팬이죠. 이미 주방용품시장의 대세를 이루고 있는 매우 일반적으로 퍼져있는 후라이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후라이팬의 스프레이를 통한 코팅제를 뿌려서 논스틱 기능을 만들어내는데요. 스프레이 코팅을 하는 두께의 단위는 미크론입니다. 기호는 μ. 1 미크론은 1mm의 1/1000을 나타내죠. 당연히 후라이팬에 코팅이 두껍게 도포될수록 논스틱 기능은 우수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어요 ^^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코팅팬을 사용하면 할수록 이 미크론 두께는 얇아지게 됩니다.행여나 수세미를 빡빡 긁어대거나 날카로운 물건으로 긁기라도하면 바로 벗겨지기도 하죠. *코팅력이 좋은 후라이팬을 사용할때의 논스틱 기능* 우리집 코팅 후라이팬이 계란후라이를 하면 늘러붙는다면? 계란후라이도 잘 되던 후라이팬이 겉은 멀쩡한데 예전보다 많이 늘러붙는이유는 이 코팅이 얇아지며 논스틱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시장에서 판매하는 일반 후라이팬의 경우 보통 20~35미크론 정도로 코팅을 입힙니다. 일반적인 수준이죠. 허나 고급형의 경우에는 그에 두배이상에 달하는 60미크론을 입히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코팅을 두껍게 한다는 것은 그만큼 후라이팬을 오래 쓸 수 있다는 것이겠죠? 요즘에는 이렇게 후라이팬의 코팅두께도 공개하는 제조업체와 브랜드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는 후라이팬 두께를 보고 구매해보시는것은 어떨까요?

요리조아) 알루미늄 냄비,후라이팬의 PFOA,중금속,환경호르몬 물질에 대하여.

이미지
많은 분들이 민감해하시는 부분인 주방용품 중금속 부분입니다. 조리도구를 잘못 사용하면 정성들인 음식에 환경호르몬이나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녹아들 수 있습니다.입으로 들어가는 조리도구만큼은 이런 중금속 관련한 정보에 민감할 수밖에 없죠.이번에는 요리조아에서 이런 후라이팬에서 나오는 중금속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1. 왜 냄비,후라이팬에서 중금속이 나올까요?  보통 알루미늄순도 99프로인 판재로 만든 냄비,후라이팬은 좀 덜합니다. 허나 일반적으로 캐스팅 주물제품 알루미늄 순도는 70%대~80%대 라는데에 포인트가 있습니다. 냄비,후라이팬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사용하는 원자재를 만드는 곳에서는 알루미늄을 녹이고 용해하는 과정에서 나머지 20%~30%는 다른 성분과 섞게 됩니다. 그런 과정에서 카드뮴이나 납과 같은 중금속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냄비, 후라이팬 제품의 구매시에 유의해야할 주요 성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PFOA (퍼플루오로옥타노익 에시드) PFOA는 과불화 화합물의 일종으로 새롭게 주목받는 환경오염물질입니다. 아직 정확한 인체유해성 여부는 나오지 않았지만 학자들은 이 물질이 인체에 다량 축적되면 암과 태아 기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PFOA는 코팅제에 많이 들어가는 성분이기 때문에 PFOA FREE제품인지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카드뮴 (Cd)은 대표적인 중금속 유해물질입니다.    체내에 흡수되면 염증,기침,현기증, 복통 등 질병을 유발합니다.  - 납(Pb)역시 대표적인 중금속 유해물질입니다.    건강한 주방용품을 사용하려면 반드시 차단해야할 성분이기도 합니다.  - 알루미늄 : 알루미늄 중독역시 신경써야합니다. 물론 알루미늄 주방식기를 사용해서 섭취되는 알루미늄양은 극소수고 자연스럽게 인체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많습니다만 유의하는 것이 좋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