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후라이팬코팅인 게시물 표시

위드포드사의 매우 특별한 엑스칼리버(Excalibur) 코팅

이미지

요리조아) 후라이팬 코팅두께와 코팅력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세라믹 후라이팬의 코팅은 "세라믹"입니다. 기존에 불소수지코팅의 PFOA가 발암물질인지에 대한 많은 논란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코팅팬이죠. 이미 주방용품시장의 대세를 이루고 있는 매우 일반적으로 퍼져있는 후라이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후라이팬의 스프레이를 통한 코팅제를 뿌려서 논스틱 기능을 만들어내는데요. 스프레이 코팅을 하는 두께의 단위는 미크론입니다. 기호는 μ. 1 미크론은 1mm의 1/1000을 나타내죠. 당연히 후라이팬에 코팅이 두껍게 도포될수록 논스틱 기능은 우수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어요 ^^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코팅팬을 사용하면 할수록 이 미크론 두께는 얇아지게 됩니다.행여나 수세미를 빡빡 긁어대거나 날카로운 물건으로 긁기라도하면 바로 벗겨지기도 하죠. *코팅력이 좋은 후라이팬을 사용할때의 논스틱 기능* 우리집 코팅 후라이팬이 계란후라이를 하면 늘러붙는다면? 계란후라이도 잘 되던 후라이팬이 겉은 멀쩡한데 예전보다 많이 늘러붙는이유는 이 코팅이 얇아지며 논스틱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시장에서 판매하는 일반 후라이팬의 경우 보통 20~35미크론 정도로 코팅을 입힙니다. 일반적인 수준이죠. 허나 고급형의 경우에는 그에 두배이상에 달하는 60미크론을 입히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코팅을 두껍게 한다는 것은 그만큼 후라이팬을 오래 쓸 수 있다는 것이겠죠? 요즘에는 이렇게 후라이팬의 코팅두께도 공개하는 제조업체와 브랜드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는 후라이팬 두께를 보고 구매해보시는것은 어떨까요?

요리조아) 여전히 논란중인 후라이팬 코팅 과불화화합물 PFOA, PFHxA의 위험성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이슈화되었던 후라이팬 코팅제에서 나오는 PFOA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논란이 2017년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과불화화합물이란 현재 미국에서는 이 PFOA를 주방제 코팅용품에 쓰는 것은 규제하기 시작했으며 다른 선진국도 마찬가지입니다. 허나 국내에서는 아직 명확한 기준이 나와있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나온 결과는 가히 충격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생활용품 300점을 무작위로 구입해서 과물화화합물이 얼마나 나오는지는 무작위로 검사하였는데요 그중에 주방용품 후라이팬에서 가장 많은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었습니다.(PFOA, PFHxA) 여기서 PFOA와 PFHxA는 모두 과불화화합물입니다. C8(탄소8)의 안정적인 결합체인 PFOA는 이미 동물생체실험을 발암물질로 의심받고 있는 물질이기때문에 선진국에서는 모두 사용을 금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대체제로 C6(탄소6결합)인 PFHxA를 사용하고 있는것이죠. 우리가 시중 후라이팬에서 볼 수 있는 PFOA Free는 바로 이 PFHxA를 PFOA 대체제로 사용한 제품들입니다. <2016년 YTN 방송분> 그러나 C8로 대변되는 PFOA나 C6로 대체된 PFHxA모두 인체의 유해성 논란에서 아직도 자유롭지 못한것이 사실입니다. 새롭게 대체제로 쓰이고 있는 PFHxA와 PFFE(불소수지테프론)으로 만들어내는 코팅제과 과연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것일까요?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2016년 SBS모닝와이드 방송분> 코팅제 후라이팬을 사용할때 간과하지 말아야할 중요한 부분. "바로 가스"입니다. 사실 우리가 코팅이 벗겨지는 것에 대한 주의를 많이 하고 있지만 조리를 할때 일정 온도 이상에서 나오게 되는 가스에 대한 관심이 덜한것이 사실입니다. 지금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이야기도 사실 기화되어 밖으로 나오는 가스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 보...

후라이팬의 종류 및 재질의 차이에 대하여.

이미지
흔희들 쉽게 쓰는 후라이팬, 냄비들. 알루미늄 팬, 스텐레스, 티타늄, 마스네슘, 황토,등... 단! 냄비와 후라이팬은 가족의 건강과 직결된다는점 잊지 마세요. 이번 내용은 시중에 널리고 널린 알루미늄 후라이팬 이야기입니다. 1. 알루미늄 후라이팬. 보통 알루미늄을 Magic Metal 이라고 하죠. 비철금속으로 이정도로 가볍고 경도가 있고 이처럼 성형이 자유로운 금속이 없습니다. 철과 달리 저온에서 오히려 경도가 강화되서 미국 달나라갈때도 쓰이는 금속입니다. 일단 가볍습니다. (철에 비해), 아줌마들이 쉽게 들수 있는 무게입니다. 그 종류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판재 후라이팬.  순수 알루미늄 비율이 99프로가 넘는 알루미늄 원코일을 가지고 생산하는 제품입니다.  둥근 알루미늄판을  프레스(press)성형을 통해 냄비화하죠. 시중에 흔히 볼 수 있는 양은냄비도 이 방식을 씁니다.  타 금속에 비해서 알루미늄은 재료 자체의 단가가 싸죠. 양은냄비는 이러한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서 "최대한 작은 두께로, 최대한 적은 알루미늄양으로" 만들어낸 제품입니다. 값싸죠. 반대로 정말 최고급은 후라이팬도 이 판재법을 씁니다. (ex. 휘슬러등 독일제 및)  최고급 후라이팬에 적합한 것이 판재죠. (이유는 밑에서..) 이 제품들은 반대로 제품 두께가 두껍고 제품 순도가 높고 그렇겠죠. 여하튼.... 판재의 장점은 알루미늄 순도가 높기 때문에 인체 유해물질에 조금이나마 자유롭습니다. 이 얘기는 캐스팅 제품(“통주물냄비,후라이팬등)에 비해서 자유롭다는 이야기입니다. (캐스팅제품의 알루미늄 순도는 70프로대니까요) 소비자가 조금이나마  판재제품은 알루미늄 순도를 판단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것이지요. 이런 판재 후라이팬의 특징은 다이캐스팅 주물(중력주조포함)과 달리 손잡이 구멍이 뚫릴 수밖에 없습니다.     2) 일명 통주물이라고 불리는 다이캐스팅 ...

후라이팬 대표 코팅제는 단 두가지! 불소수지코팅 OR 세라믹 코팅!

이미지
1. 현재 후라이팬류 메인코팅은 2가지뿐입니다. 불소수지코팅 혹은 세라믹코팅. : 지금 시중에 뿌려진 제품 대부분 다이아몬드 코팅이니 마블코팅 등 이런 코팅들은 전부다 "불소수지코팅"입니다.  최근에 친환경 코팅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강해지고 불소수지코팅(일명 테프론코팅)에 발암물질인 PFOA성분을  민감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코팅의 명칭을 바꿔서 이야기하지만 원론적으로 모두 불소수지코팅이랑 동일하도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주방용품 회사에서는 각종 검증을 통해서 PFOA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코팅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소수지 코팅의 논란의 중심에 PFOA가 있다는 팩트는 부정할 수 없습니다.논란의 코팅 불소수지코팅이란거죠. 2. 세라믹 코팅은 말그대로 세라믹코팅입니다.  늘러붙지 않는 nonstick 기능은 사실 불소수지코팅이 세라믹코팅보다 안정적이고 오래갑니다. 물론 코팅의 두께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세라믹코팅이 조금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세라믹이 건강상에는 조금? 낫습니다. 특히 아이들 생각하면 세라믹코팅 후라이팬 쓰세요.  그리고 코팅이 조금이라도 벗겨지면 바로 버리세요. 다이캐스팅 일명 홈쇼핑에서 “통주물”이라고 불리는 후라이팬의 알루미늄 성분이 매우 안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납과 카드뮴 노출이 있을 수 있고 코팅이 벗겨지면 요리할때 바로 녹아나와요. 여러 주방용품 업체들이 코팅이 벗겨진 후라이팬은 더 쓰지 말고 바로 버리라고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이미지
1.  후라이팬의 숨은 비밀 .  어디에도 제품 무게 (g 그램 ) 는 잘 적혀있지 않은 제품들이 많다 . 사실 잦은 집안일로 힘겨워하는 주부들에게 인기있는 후라이팬은  “ 가벼운 ” 후라이팬입니다만 역설적으로 제조사입장에서는  제품의 원가를 떨어뜨리는 원동력이 되기도 합니다 .  제품이 가볍다는 것은 그만큼 위험성 ( 화재위험 ) 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고 강불에 너무 빨리 타버리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가벼운 후라이팬은 쉽게 열이 가열되고 지나치게 빨리 음식을 데우기  때문에 음식이 잘 타는거죠 .  저가형 후라이팬들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 키친아트 ,  셰프라인이란 회사는 이미 사라진지 오래다 . 수없이 많이 나오는 키친아트 셰프라인 브랜드제품은 걍  OEM,  한마디로 여러공장에서 찍어내는 제품들일뿐 브랜드 자체 공장이 없습니다 .  자체 공장은 사라진지 꽤 오래 된 회사여서 브랜드 수수료만 받는 브랜드 회사만 남았지 생산공장은 없습니다 .  로열티로 운영되는 회사인 것이죠 .  한마디로 키친아트 ,  셰프라인 등의 제품들은 전국 후라이팬 공장에서 로얄티를 지불하고 만드는 제품들입니다 .   3.  국산 제품중에 자체 생산공정을 가진 회사는 드뭅니다 . H 사나  N 사 그리고 밀폐용기로 유명한  R 사정도가 있습니다 . 주문자생산방식 OEM 도 제품의 품질관리를 엄격히 하면 충분히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지만 아무래도 국산 제품들중에서 자체 생산공장을 가지고 있는 제품들이 품질관리 측면에서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