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PTFE인 게시물 표시

후라이팬에 자주 보이는 코팅명칭.자일란/콴탸늄/이클립스 코팅

이미지

요리조아) 여전히 논란중인 후라이팬 코팅 과불화화합물 PFOA, PFHxA의 위험성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이슈화되었던 후라이팬 코팅제에서 나오는 PFOA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논란이 2017년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과불화화합물이란 현재 미국에서는 이 PFOA를 주방제 코팅용품에 쓰는 것은 규제하기 시작했으며 다른 선진국도 마찬가지입니다. 허나 국내에서는 아직 명확한 기준이 나와있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나온 결과는 가히 충격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생활용품 300점을 무작위로 구입해서 과물화화합물이 얼마나 나오는지는 무작위로 검사하였는데요 그중에 주방용품 후라이팬에서 가장 많은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었습니다.(PFOA, PFHxA) 여기서 PFOA와 PFHxA는 모두 과불화화합물입니다. C8(탄소8)의 안정적인 결합체인 PFOA는 이미 동물생체실험을 발암물질로 의심받고 있는 물질이기때문에 선진국에서는 모두 사용을 금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대체제로 C6(탄소6결합)인 PFHxA를 사용하고 있는것이죠. 우리가 시중 후라이팬에서 볼 수 있는 PFOA Free는 바로 이 PFHxA를 PFOA 대체제로 사용한 제품들입니다. <2016년 YTN 방송분> 그러나 C8로 대변되는 PFOA나 C6로 대체된 PFHxA모두 인체의 유해성 논란에서 아직도 자유롭지 못한것이 사실입니다. 새롭게 대체제로 쓰이고 있는 PFHxA와 PFFE(불소수지테프론)으로 만들어내는 코팅제과 과연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것일까요?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2016년 SBS모닝와이드 방송분> 코팅제 후라이팬을 사용할때 간과하지 말아야할 중요한 부분. "바로 가스"입니다. 사실 우리가 코팅이 벗겨지는 것에 대한 주의를 많이 하고 있지만 조리를 할때 일정 온도 이상에서 나오게 되는 가스에 대한 관심이 덜한것이 사실입니다. 지금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이야기도 사실 기화되어 밖으로 나오는 가스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 보...

요리조아) 알루미늄 냄비,후라이팬의 PFOA,중금속,환경호르몬 물질에 대하여.

이미지
많은 분들이 민감해하시는 부분인 주방용품 중금속 부분입니다. 조리도구를 잘못 사용하면 정성들인 음식에 환경호르몬이나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녹아들 수 있습니다.입으로 들어가는 조리도구만큼은 이런 중금속 관련한 정보에 민감할 수밖에 없죠.이번에는 요리조아에서 이런 후라이팬에서 나오는 중금속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1. 왜 냄비,후라이팬에서 중금속이 나올까요?  보통 알루미늄순도 99프로인 판재로 만든 냄비,후라이팬은 좀 덜합니다. 허나 일반적으로 캐스팅 주물제품 알루미늄 순도는 70%대~80%대 라는데에 포인트가 있습니다. 냄비,후라이팬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사용하는 원자재를 만드는 곳에서는 알루미늄을 녹이고 용해하는 과정에서 나머지 20%~30%는 다른 성분과 섞게 됩니다. 그런 과정에서 카드뮴이나 납과 같은 중금속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냄비, 후라이팬 제품의 구매시에 유의해야할 주요 성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PFOA (퍼플루오로옥타노익 에시드) PFOA는 과불화 화합물의 일종으로 새롭게 주목받는 환경오염물질입니다. 아직 정확한 인체유해성 여부는 나오지 않았지만 학자들은 이 물질이 인체에 다량 축적되면 암과 태아 기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PFOA는 코팅제에 많이 들어가는 성분이기 때문에 PFOA FREE제품인지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카드뮴 (Cd)은 대표적인 중금속 유해물질입니다.    체내에 흡수되면 염증,기침,현기증, 복통 등 질병을 유발합니다.  - 납(Pb)역시 대표적인 중금속 유해물질입니다.    건강한 주방용품을 사용하려면 반드시 차단해야할 성분이기도 합니다.  - 알루미늄 : 알루미늄 중독역시 신경써야합니다. 물론 알루미늄 주방식기를 사용해서 섭취되는 알루미늄양은 극소수고 자연스럽게 인체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많습니다만 유의하는 것이 좋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