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주방용품인 게시물 표시

색감이 돋보이는 430ml 용량의 도자기 머그컵 입고. 6칼라.

이미지
독특하고 예쁜 색감의 도자기 재질의 머그컵이 입고되었습니다.   6가지 다양한 색상으로 입고되었구요. 제품의 색상과 동물패턴의 무늬가 귀여움을 더하는 제품입니다. 제품은 컵 자체만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컵과 빨대는 촬영용 소품이구요) 굳이 뚜껑이 없어도 될만한 제품이죠 ^^ 머그뿐만 아니라 드링킹자로도 충분합니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듯합니다. 커피를 담을 수도 있고 음료에 얼음을 넣어서 마셔도 시원하겠죠? ^^ 컬러풀한 색상과 디자인이 주방을 더욱 환하게 만들어주는 제품이 아닐 수 없습니다. 판매가 8500원입니다. 지금 요리조아에 방문해보세요. 1%의 적립금 혜택. 3천원의 회원가입. 그리고 YZ무료 체험단 이벤트까지! http://www.yorizoa.co.kr/product/mug21

백화현상. 냄비와 후라이팬에 생기는 하얀얼룩.

이미지
백화현상. 냄비와 후라이팬에 생기는 하얀얼룩. 코팅팬에서 종종 나타나는 하얀 얼룩은 왜 생기는 걸까요? 백화현상. 코팅팬 종류에서 나오는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팬의 내외부에 하얗게 결정같은 얼룩이 생기며 잘 씻기지도 않습니다. 코팅팬과 음식물 속의 염분(Na+) 화학작용 한국 음식들을 보통 짜다고 합니다. 그만큼 소금과 염분을 많이 사용하는 국물요리가 많은 것이 한국 요리의 특징입니다. 이런 강한 산성의 조리를 할때 나오는 염분이 팬과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코팅팬 위애 하얗게 모래처럼 백화현상을 내게 됩니다. 백화현상은 팬의 수명이 떨어졌다는 반증입니다. 코팅제 제조회사들은 이런 백화현상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그런 백화현상을 방지하고자 다른 물질들을 섞어주기도 합니다. 염분과 반응을 못하게 막는 것이지요. 만약 집에 있는 팬에 백화현상이 일어난다면 비록 겉은 멀쩡해 보인다하여도 수명이 다한 것입니다. 백화현상이 아닌 음식물이 하얗게 눌러붙어있을 경우. 이 경우는 일반 세제가 아니라 베이킹 소다를 사용해서 세척을 해주시고 뜨거운 물을 붓는 이 하얀 얼룩이 지워지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코팅 후라이팬에 철제류 수세미로 강하게 긁어서 얼룩을 떼시려 하시면 안됩니다. 코팅이 벗겨질 수 있습니다. 일반 주방 타월로 부드럽게 얼룩을 제거해보시길 추천합니다. 물론 일단 팬에 음식물이 늘러붙은것이라면 팬의 코팅력이 약화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스테인레스 주방용품 일반상식.

이미지
안녕하세요. 요리조아입니다. 이번 스토리는 스테인레스 후라이팬입니다. 일명 스댕!이라고들 하죠 ^^ 스댕관련 몇가지 팁을 드려볼까 합니다. 1. 알루미늄 코팅팬대신 대신 왜 스댕을 쓰는가?  한마디로 웰빙 “친환경”에 가장 적합하다는거죠. 코팅팬이 가지는 유해성논란에서 자유로우며 인체에 무해한 스텐레스로 이루어진 냄비기에 타 주방기기보다 친환경적입니다. 코팅이 벗겨질 걱정도 없고 강도도 높습니다. 반영구적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구요.(심지어 며느리 물려준다고도 하죠^^)  특히 "보온성"이 탁월합니다. 시중에 나오는 보온병 대부분이 스댕제품들이죠.  현재 제조되는 주방기구 소재중에는 가장 “안정적이어서 각광받는” 제품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주부들을 어렵게 하는 시즈닝. 일명 길들이기. 코팅팬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처음 스테인레스 후라이팬을 쓰면 늘러붙습니다. 코팅팬과는 달리 스테인레스 팬은 일명 시즈닝이라는 길들이기 작업을 해야하는데요. 이것이 주부들이 스댕팬을 꺼리는 한가지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2. 스댕 주방용품 구입시에는 무조건 “재질”을 확인하세요.  스테인레스 소재는 엄청나게 다양하며 주방기구 회사들이 주로 찾는 스댕소재는 SUS304, SUS430입니다.  이 기준은 바로 크롬과 니켈이 섞여있는 비율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스댕팬의 크롬,니켈 특히 니켈의 비율은 “매우”중요합니다. 니켈이 철의 부식방지를 해주기 때문이죠. 또한 철의 성분비와 유무에 따라 인덕션(IH)이 되기도 하고 될 수 없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스테인레스는 합금이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조합의 스테인레스가 존재합니다.  <SUS304>  대부분의 주방기구 원자재로 쓰이며 보통 냄비박스에 18/8 혹은 18/10으로 적혀있습니다 - Cr (18%) + Ni (8%)첨가  크롬과 니켈의 비중이 높아 내식성, 부식방지에 탁...
이미지
이번 글은 코팅팬 손잡이 이야기입니다. 후라이팬의 손잡이 부분은 쉽게 간과하기 쉽죠 ^^ 허나 그 후라이팬이 어떤 후라이팬인지 알기 위해선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바로 손잡이입니다.제조업체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는 분야이기도 하구요. 종류는 팬 내부로 구멍을 뚫는 후라이팬과 팬 외부로 돌출시키는 캐스팅(일명 통주물) 후라이팬이 있습니다. 문제는 후라이팬을 살 때 "손잡이와 팬 내부의 연결점이 광고지로 가려져 있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제품이 손잡이와 팬내부의 연결 고리를 찾아볼 수 없게 디자인 되어있는 종이가 씌워져 있습니다.이건 후라이팬의 외형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판재형 구멍뚫린 손잡이의 경우 기본적으로 "손잡이가 팬 내부를 뚫어서 볼트로 조인 제품들은 내부 볼트사이에 이물질이 낍니다" 주부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물론 건강상으로도요. 세척을 해도 그 틈새로 이물질이 쌓여가죠. 마치 방 깨끗히 청소기 돌려도 장롱 및 침대및은 먼지가 수북히 쌓이는 것과 같은 이치죠. 그런 팬으로 요리를 하면 열과함께 고스란히 그 이물질이 섞이게 됩니다. 이것이 판재 후라이팬의 약점입니다. 이런 주부들의 불만과 함께 만들어진게 바로 주물 후라이팬(다이캐스팅)입니다. 애초에 금형에다가 손잡이를 밖으로 빼놓았기 때문에 (애초에 주물로 손잡이 부분이 튀어나와있고 밖에서 손잡이로 조립)팬 내부로 연결되는 고리가 없습니다. 적어도 안은 깨끗하다는거죠. 그래서 캐스팅 후라이팬이 각광받으며 인기를 끌게 됩니다.(물론 코팅문제나 복합적인 요소가 있지만 일단 손잡이 부분만 보면 그렇습니다) 한마디로 순수히 손잡이 측면에서 보면 후라이팬 내부에 구멍 뚫어서 나사 조립해서 만든 후라이팬을 보완한 팬이 주물 후라이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휘슬러, WMF등 유명 독일제 후라이팬도 구멍 뚫린 판재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일방적으로 주부들이 이물질이 낀다고 다 품질이 나쁜 것은 아...

후라이팬의 종류 및 재질의 차이에 대하여.

이미지
흔희들 쉽게 쓰는 후라이팬, 냄비들. 알루미늄 팬, 스텐레스, 티타늄, 마스네슘, 황토,등... 단! 냄비와 후라이팬은 가족의 건강과 직결된다는점 잊지 마세요. 이번 내용은 시중에 널리고 널린 알루미늄 후라이팬 이야기입니다. 1. 알루미늄 후라이팬. 보통 알루미늄을 Magic Metal 이라고 하죠. 비철금속으로 이정도로 가볍고 경도가 있고 이처럼 성형이 자유로운 금속이 없습니다. 철과 달리 저온에서 오히려 경도가 강화되서 미국 달나라갈때도 쓰이는 금속입니다. 일단 가볍습니다. (철에 비해), 아줌마들이 쉽게 들수 있는 무게입니다. 그 종류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판재 후라이팬.  순수 알루미늄 비율이 99프로가 넘는 알루미늄 원코일을 가지고 생산하는 제품입니다.  둥근 알루미늄판을  프레스(press)성형을 통해 냄비화하죠. 시중에 흔히 볼 수 있는 양은냄비도 이 방식을 씁니다.  타 금속에 비해서 알루미늄은 재료 자체의 단가가 싸죠. 양은냄비는 이러한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서 "최대한 작은 두께로, 최대한 적은 알루미늄양으로" 만들어낸 제품입니다. 값싸죠. 반대로 정말 최고급은 후라이팬도 이 판재법을 씁니다. (ex. 휘슬러등 독일제 및)  최고급 후라이팬에 적합한 것이 판재죠. (이유는 밑에서..) 이 제품들은 반대로 제품 두께가 두껍고 제품 순도가 높고 그렇겠죠. 여하튼.... 판재의 장점은 알루미늄 순도가 높기 때문에 인체 유해물질에 조금이나마 자유롭습니다. 이 얘기는 캐스팅 제품(“통주물냄비,후라이팬등)에 비해서 자유롭다는 이야기입니다. (캐스팅제품의 알루미늄 순도는 70프로대니까요) 소비자가 조금이나마  판재제품은 알루미늄 순도를 판단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것이지요. 이런 판재 후라이팬의 특징은 다이캐스팅 주물(중력주조포함)과 달리 손잡이 구멍이 뚫릴 수밖에 없습니다.     2) 일명 통주물이라고 불리는 다이캐스팅 ...

후라이팬 대표 코팅제는 단 두가지! 불소수지코팅 OR 세라믹 코팅!

이미지
1. 현재 후라이팬류 메인코팅은 2가지뿐입니다. 불소수지코팅 혹은 세라믹코팅. : 지금 시중에 뿌려진 제품 대부분 다이아몬드 코팅이니 마블코팅 등 이런 코팅들은 전부다 "불소수지코팅"입니다.  최근에 친환경 코팅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강해지고 불소수지코팅(일명 테프론코팅)에 발암물질인 PFOA성분을  민감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코팅의 명칭을 바꿔서 이야기하지만 원론적으로 모두 불소수지코팅이랑 동일하도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주방용품 회사에서는 각종 검증을 통해서 PFOA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코팅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소수지 코팅의 논란의 중심에 PFOA가 있다는 팩트는 부정할 수 없습니다.논란의 코팅 불소수지코팅이란거죠. 2. 세라믹 코팅은 말그대로 세라믹코팅입니다.  늘러붙지 않는 nonstick 기능은 사실 불소수지코팅이 세라믹코팅보다 안정적이고 오래갑니다. 물론 코팅의 두께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세라믹코팅이 조금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세라믹이 건강상에는 조금? 낫습니다. 특히 아이들 생각하면 세라믹코팅 후라이팬 쓰세요.  그리고 코팅이 조금이라도 벗겨지면 바로 버리세요. 다이캐스팅 일명 홈쇼핑에서 “통주물”이라고 불리는 후라이팬의 알루미늄 성분이 매우 안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납과 카드뮴 노출이 있을 수 있고 코팅이 벗겨지면 요리할때 바로 녹아나와요. 여러 주방용품 업체들이 코팅이 벗겨진 후라이팬은 더 쓰지 말고 바로 버리라고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인덕션(IH)렌지위에 종이를 올려놓으면 어떻게 될까요?

이미지
인덕션(IH)렌지위에 종이를 올려놓으면 어떻게 될까요?
이미지
1.  후라이팬의 숨은 비밀 .  어디에도 제품 무게 (g 그램 ) 는 잘 적혀있지 않은 제품들이 많다 . 사실 잦은 집안일로 힘겨워하는 주부들에게 인기있는 후라이팬은  “ 가벼운 ” 후라이팬입니다만 역설적으로 제조사입장에서는  제품의 원가를 떨어뜨리는 원동력이 되기도 합니다 .  제품이 가볍다는 것은 그만큼 위험성 ( 화재위험 ) 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고 강불에 너무 빨리 타버리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가벼운 후라이팬은 쉽게 열이 가열되고 지나치게 빨리 음식을 데우기  때문에 음식이 잘 타는거죠 .  저가형 후라이팬들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 키친아트 ,  셰프라인이란 회사는 이미 사라진지 오래다 . 수없이 많이 나오는 키친아트 셰프라인 브랜드제품은 걍  OEM,  한마디로 여러공장에서 찍어내는 제품들일뿐 브랜드 자체 공장이 없습니다 .  자체 공장은 사라진지 꽤 오래 된 회사여서 브랜드 수수료만 받는 브랜드 회사만 남았지 생산공장은 없습니다 .  로열티로 운영되는 회사인 것이죠 .  한마디로 키친아트 ,  셰프라인 등의 제품들은 전국 후라이팬 공장에서 로얄티를 지불하고 만드는 제품들입니다 .   3.  국산 제품중에 자체 생산공정을 가진 회사는 드뭅니다 . H 사나  N 사 그리고 밀폐용기로 유명한  R 사정도가 있습니다 . 주문자생산방식 OEM 도 제품의 품질관리를 엄격히 하면 충분히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지만 아무래도 국산 제품들중에서 자체 생산공장을 가지고 있는 제품들이 품질관리 측면에서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요리조아는 주방의 아름다움과 건강한 조리도구 그리고 요리의 행복을 추구합니다.

이미지
요리조아는 주방의 아름다움과 건강한 조리도구 그리고   요리의 행복을 추구합니다.  요리조아는 소중한 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소통의 장이자 건강하고 다양한 조리도구를 소개하고 제품의 특장점을 잘 알려드리는 새로운 형식의 비디오 커머스 플랫폼입니다.   요리조아는 언제나 행복한 주방생활과 건강하고 질좋은 조리도구를 통한 요리의 행복을 추구할 것입니다.